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는 로스쿨 실무교육 활성화와 법학전문대학원과 실무 간 교류를 목표로 하는 대회이다. 형사 및 민사 두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로스쿨에서 3인으로 구성된 팀이 참가하여 법정 변론을 펼친다. 서면 심사, 본선, 결선 단계를 거쳐 우승팀을 가리며, 우승팀에게는 가인상이 수여된다. 역대 대회 결과와 참가 팀 및 인원에 대한 통계 정보도 제공된다.

2. 목적

훌륭한 법조인 양성의 책무를 지는 국가기관으로서 내실 있는 로스쿨 실무교육에 일조하고, 로스쿨과 실무 사이의 교류를 활성화하고자 함을 목표로 한다.

3. 내용

형사와 민사 두 부문으로 나누어 열린다. 참가자는 자신이 속한 법학전문대학원 내에서 자신을 포함해 3명으로 구성된 한 팀을 만들어야 하며, 소속 법학전문대학원장의 추천을 받아 출전할 수 있다. 소속 법학전문대학원 내에서 팀을 구성해야 하므로, 대회는 자연스럽게 전국 25개 법학전문대학원 간의 대항전 성격을 띤다. 한편, 소속 법학전문대학원 내부 참가팀들이나 교수 등 외부의 부당한 지원을 받은 경우 해당 대회 및 다음 대회까지 출전 자격을 잃을 수 있다는 규정[1]에 따라, 철저하게 개별 팀의 역량으로 평가받는 대회이다.

4. 대회의 진행

제1회 대회는 서면심사, 예선, 본선, 결선의 4단계를 거쳐 진행되었으나, 제2회 대회부터는 서면심사(예선), 본선, 결선의 3단계로 진행된다.

서면심사 평가 성적에 따라 상위 36개 팀을 선발하여 본선을 진행한다. 본선에서는 참가팀들이 원고, 피고 또는 검사, 변호인으로 역할을 나누어 법정 공방을 벌인다. 본선은 6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조 1위 팀(총 6팀)이 결선에 진출한다. 결선에서도 마찬가지로 법정 공방을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대회 시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순위상 이름
우승가인상
2위 (민사)대한변호사협회회장상
2위 (형사)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이사장상
3위 이하자유상, 평등상, 정의상, 법률신문사장상



제1회 대회의 예선은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렸고, 본선과 결선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된 가운데 대법원에서 진행되었다.[12] 제2회 대회부터는 서면심사를 거쳐 본선과 결선 모두 서울법원종합청사 대법정에서 열리고 있다.

5. 역대 대회 결과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는 2010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각 회차별 상세한 결과는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1. 제1회 대회 (2010년)

제1회 대회는 최종 결선에서 민사부문과 형사부문 각 2팀이 맞붙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민사부문 결선에는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김성훈, 양선미, 박상택 팀과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송제혁, 김상욱, 유정희 팀이 진출하였다. 형사부문 결선에는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박기범, 이승운, 김소현 팀과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최재원, 류승호, 이지윤 팀이 진출하였다.

2010년 3월 19일에 열린 최종 결선 결과, 민사부문에서는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팀(김성훈, 양선미, 박상택)이 우승하였고, 형사부문에서는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팀(박기범, 이승운, 김소현)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개인 최우수상(MVP)은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박기범이 수상하였다.

5. 2. 제2회 대회

제2회 대회부터는 결선에서 6팀이 3조로 나뉘어 각각 원고, 피고 또는 검사, 변호인으로 법정 공방을 벌여 수상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부문수상 구분수상자 (소속)
민사우승위정현, 김희연, 윤정운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위김태훈, 홍승희, 송창성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개인 최우수상배다헌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형사우승서영민, 이준석, 박윤상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위김정규, 김민승, 이광준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개인 최우수상송주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5. 3. 제3회 대회

민사 부문에서는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하헌환, 이동산, 홍정훈 팀이 우승하였다. 형사 부문에서도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심강현, 엄태섭, 김별다비 팀이 우승하여, 제3회 대회에서는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 민사, 형사 부문을 모두 석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민사 부문 개인 최우수상은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하헌환이 수상하였고, 형사 부문 개인 최우수상은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우은혜가 수상하였다.

민사 부문 2위에 해당하는 대한변호사협회장상은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이용우, 정상윤, 오지훈 팀에게 돌아갔다. 형사 부문 2위인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이사장상은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김수엽, 김성욱, 김대희 팀이 수상했다.

5. 4. 제4회 대회

민사부문에서는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장혜명, 김동현, 조정희 팀이, 형사부문에서는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우충사, 고두성, 강신무 팀이 우승(가인상)을 차지하였다[13].

'''민사부문 수상 내역'''

순위수상 내역소속팀원
우승가인상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혜명, 김동현, 조정희
2위대한변호사협회장상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태형, 김유중, 정수민
3위법률신문사장상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조한진, 김재희, 이진주
4위자유상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나형준, 김경선, 이은주
5위평등상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강민, 이삼열, 오유정
6위정의상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태형, 전인규, 장민아


  • 민사부문 개인최우수상(MVP)은 민사부문 우승팀인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조정희가 수상하였다.


'''형사부문 수상 내역'''

순위수상 내역소속팀원
우승가인상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우충사, 고두성, 강신무
2위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장상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강성윤, 주석진, 홍원표
3위법률신문사장상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문승현, 박수진, 박병건
4위자유상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수현, 김정현, 이종훈
5위평등상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주한, 최광성, 박예지
6위정의상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서재민, 이유라, 성민섭


  • 형사부문 개인최우수상(MVP)은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문승현이 수상하였다.

5. 5. 제5회 대회

wikitext

부문수상 내역수상자/팀
민사우승 (가인상)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최영훈, 고효정, 김승현)
형사우승 (가인상)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미란, 고병용, 박찬영)
민사개인 최우수상 (MVP)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현지
형사개인 최우수상 (MVP)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덕


5. 6. 제6회 대회

부문순위수상 내역수상팀팀원
민사1위가인상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민주(팀장), 강현주, 김은아
2위대한변호사협회장상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광덕, 윤정은, 이지수
3위법률신문사장상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경연, 국현아, 이현주
형사1위가인상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헌준(팀장), 김민수, 박소민
2위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장상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조미소, 김도희, 백지웅
3위법률신문사장상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최강용, 차승호, 김의중



팀 성적과 관계없이 최고의 변론을 선보인 개인에게 주어지는 개인 최우수상은 다음과 같다.[14]


  • 민사부문 개인 최우수상: 이현주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형사부문 개인 최우수상: 김도희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5. 7. 제7회 대회

민사 부문에서는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이지윤, 최단비, 하연지 팀이, 형사 부문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최회정, 박수영, 최이진 팀이 각각 우승하여 가인상을 수상했다.

각 부문별 상세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제7회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 민사 부문 수상 내역'''
순위수상팀팀원
우승 (가인상)대법원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지윤, 최단비, 하연지
2위대한변호사협회장상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이인수, 이재성, 정호석
3위법률신문사장상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산, 서현민, 송성규



'''제7회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 형사 부문 수상 내역'''
순위수상팀팀원
우승 (가인상)대법원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최회정, 박수영, 최이진
2위법학전문대학원 이사장상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전병주, 전은석, 조규현
3위법률신문사장상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김지은, 길남희, 김경선



개인 최우수상(MVP)은 민사 부문에서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서현민이, 형사 부문에서는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김두수가 각각 수상했다.[15]

6. 통계

회차총 참가팀 수총 참가자 수민사 참가팀 수형사 참가팀 수민사 서면 제출 팀 수형사 서면 제출 팀 수
1회187팀561명[2]
2회310팀930명[3]172팀[3]138팀[3]
3회360팀1,080명[4]217팀[4]143팀[4]191팀[5]131팀[5]
4회200팀600명86팀[6]98팀[6]
5회152팀456명[7]81팀[7]71팀[7]72팀[8]65팀[8]
6회141팀423명[9]83팀[9]58팀[9]77팀[10]57팀[10]
7회126팀378명[11]


참조

[1] 간행물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 대회규정 http://we.scourt.go.[...] 대법원 법원행정처 2012
[2] 웹사이트 http://www.lawissue.[...]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12-06
[4] 문서 http://file.scourt.g[...]
[5] 문서 http://file.scourt.g[...]
[6] 문서 http://file.scourt.g[...]
[7] 웹사이트 http://www.lec.co.kr[...]
[8] 문서 http://file.scourt.g[...]
[9] 웹사이트 http://www.lec.co.kr[...]
[10] 문서 http://file.scourt.g[...]
[11] 웹사이트 http://www.lec.co.kr[...]
[12] 뉴스 대법, 로스쿨생 상대 ‘제1회 가인 법정변론 경연대회’ http://www.fnnews.co[...] 파이낸셜 뉴스 2009-08-30
[13] 뉴스 연세대(민사)·원광대(형사), 가인법정변론대회 우승 http://www.lawtimes.[...] 2013-02-01
[14] 뉴스 가인법정변론, 이화여대·부산대 로스쿨팀 우승 http://www.lec.co.kr[...] 법률저널 2015-01-23
[15] 뉴스 제7회 가인 법정변론대회, 중앙대·이화여대 로스쿨팀 우승 http://www.lec.co.kr[...] 법률저널 2016-02-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